기록 보관소

[Baekjoon/백준] 4949번: 균형잡힌 세상(C/C++) 본문

코딩 테스트/백준

[Baekjoon/백준] 4949번: 균형잡힌 세상(C/C++)

JongHoon 2022. 4. 9. 22:49

단계별로 풀어보기 18단계(스택) 4번 문제

이번 단계는 이번 풀이로 끝이다. 나머지 5번 문제(1874번: 스택 수열), 6번 문제(17298번: 오큰수)는 이미 올렸던 문제들이라서 해당하는 문제 링크에 따라 들어가면 된다. (C언어로 진행했었다)

https://www.acmicpc.net/step/11

 

스택 단계

주어진 문자열이 올바른 괄호열인지 판단하는 문제

www.acmicpc.net


백준 4949번: 균형잡힌 세상

https://www.acmicpc.net/problem/4949

 

4949번: 균형잡힌 세상

하나 또는 여러줄에 걸쳐서 문자열이 주어진다. 각 문자열은 영문 알파벳, 공백, 소괄호("( )") 대괄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글자보다 작거나 같다. 입력의 종료조건으로 맨 마

www.acmicpc.net


문제 설명

세계는 균형이 잘 잡혀있어야 한다. 양과 음, 빛과 어둠 그리고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처럼 말이다.

정민이의 임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괄호들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는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다.

문자열에 포함되는 괄호는 소괄호("()") 와 대괄호("[]")로 2종류이고, 문자열이 균형을 이루는 조건은 아래와 같다.

  • 모든 왼쪽 소괄호("(")는 오른쪽 소괄호(")")와만 짝을 이뤄야 한다.
  • 모든 왼쪽 대괄호("[")는 오른쪽 대괄호("]")와만 짝을 이뤄야 한다.
  • 모든 오른쪽 괄호들은 자신과 짝을 이룰 수 있는 왼쪽 괄호가 존재한다.
  • 모든 괄호들의 짝은 1:1 매칭만 가능하다. 즉, 괄호 하나가 둘 이상의 괄호와 짝지어지지 않는다.
  • 짝을 이루는 두 괄호가 있을 때, 그 사이에 있는 문자열도 균형이 잡혀야 한다.

정민이를 도와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균형잡힌 문자열인지 아닌지를 판단해보자.


입력과 출력

입력: 하나 또는 여러줄에 걸쳐서 문자열이 주어진다. 각 문자열은 영문 알파벳, 공백, 소괄호("( )") 대괄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100글자보다 작거나 같다. 입력의 종료조건으로 맨 마지막에 점 하나(".")가 들어온다.

출력: 각 줄마다 해당 문자열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면 "yes"를, 아니면 "no"를 출력한다.

힌트: 7번째의 " ."와 같이 괄호가 하나도 없는 경우도 균형잡힌 문자열로 간주할 수 있다.


접근 방법

이번 문제는 .을 입력할 때 까지 문자열을 입력받아서 해당 문자열에 있는 소괄호와 대괄호가 올바른 짝을 이루고 있는지 확인해 짝을 이루고 있으면 yes를, 아니면 no를 출력하는 문제다.

가장 마지막(=최근)에 쓰인 괄호는 이전에 같은 짝의 괄호가 이미 있거나, 혹은 앞으로 같은 짝의 괄호가 나와야한다. 그러니까 닫는 소괄호 ')'를 입력받았다면 이전에 입력받은 여는 소괄호 '('가 있었어야한다는 뜻이다. 이부분만 보면 느낌이 오듯이 후입 선출 방식인 스택을 이용해서 괄호를 입력받아, 위 조건을 사용하는 반복문을 이용하면 문제를 풀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이번 문제를 진행하면서 추가적으로 알게된 점은 반복문에 switch문을 사용할 때, switch 속의 break는 반복문과는 무관하게 작동한다는 점을 알게되었다. 처음에 무의식적으로 쓰고 테스트 해봤는데, 다행히도 이 점 덕분에 통과하게되었다.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int argc, char *argv[]) {
	string str;
	
	while (1) {
		getline(cin, str);	//공백이 포함된 문자열을 입력받으므로 getline 사용
		if (str.size() == 1 && str[0] == '.')
			break;
		
		stack<char> s;
		bool isBalanced = false;
		bool isBreak = false;

		for (int i = 0; i < str.size(); i++) {
			switch (str[i]) {
				case '(':
				case '[':
					s.push(str[i]);
					break;
				case ')':
					if (s.size() > 0 && s.top() == '(')
						s.pop();
					else
						isBalanced = isBreak = true;
					break;
				case ']':
					if (s.size() > 0 && s.top() == '[')
						s.pop();
					else
						isBalanced = isBreak = true;
					break;
			}

			if (isBreak == true)
				break;
		}

		if (s.empty() && !isBalanced)
			cout << "yes" << endl;
		else
			cout << "no" << endl;
	}

	return 0;
}

결과

백준 제출 결과